울진 성류굴 신라 석각(蔚珍 聖留窟 新羅 石刻)
이야기, 고려 말의 동굴탐방기인 이곡(李穀)의 『동유기(東遊記)』, 조선 전기의 김시습의 성류굴 시(詩), 조선 후기의 겸재 정선의 성류굴그림(1734년) 등 각 시대의 다양한 사료가 남아 있어 성류굴의 문화사적 중요성과 고대 울진지역의 역사상을 연구하는데도 중요한 사료로 평가된다. - 「울진의 금석문」(이용현, 『울진군의 역사와 문화』, 2016) - 「고고자료와 문헌기록으로 본 울진의 연혁」(심현용, 『울진군의 역사와 문화』, 2016) - 「울진 성류굴 암각 명문의 검토」(이영호, 『목간과 문자』 16, 2016) - 「울진 성류굴 입구 암벽에서 삼국시대 신라 명문 발견」(박홍국·심현용, 『울진문화』 29, 2015) - 「울진군 보도자료: 울진 성류굴 입구 암벽에서 삼국시대 신라 명문 발견!」(박홍국·심현용, 울진군청, 2015.12.16.)